출처: http://blog.naver.com/leggie/150019660408
용어 설명부터 하겠다.
온라인 광고를 하다보면 오프라인에서는 들어보지도 못한 생소한 용어들이 나오는데 그 용어에 대해 간략히 정의해보자.
1. 가장 기본적인 용어 3가지
* Impression: 광고 노출량 (광고가 몇 번 나가는지)
* Click: 클릭 (설명이 필요 없겠지?)
* CTR: 노출 대비 클릭 비율
계산 방식- (Click÷Impression)*100%
* Unique Impression, Unique Click: 중복된 숫자를 거른 노출 수 및 클릭 수. 예를 들어 한
사람에게 광고가 3번 노출되었을 때 단순 Impression은 3이지만 Unique Impreesion은 1이
됨. Unique Click도 마찬가지. 따라서 캠페인 종료 후 순수 광고 노출자및 순수 광고 클릭자
를 파악하여 광고 효과를 판단할 수 있음.
가끔 어떤 분들이 이런 질문을 한다.
"도대체 얼마를 써야 광고가 많이 나가는 거유?"
답은 간단하다. 돈을 많이 쓰면 많이 쓰는 만큼 광고는 많이 노출된다. 온라인 광고의 가장 큰 특징이 매일 매일 데이터가 남기 때문에 노출이 얼마나 됐는지, 클릭은 얼마나 됐는지를 다음 날 바로 알 수 있다.
물론 돈을 아무리 많이 쓰고 싶다고 해도 매체의 인벤토리 상황에 따라 그 돈을 다 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보통 매체들에서 광고 노출량을 CPM 단위로 제공하거나 내부 정책 가이드 라인에 의해서 금액별로 노출량을 정해 놓기 때문에 크게 고민할 필요 없이 매체사나 렙사에 문의하면 금액 대비 예상 노출량과 예상 클릭 및 예상 CTR까지 뽑아주므로 주저없이 문의하자.
그런데 인벤토리가 뭐냐고? CPM이 뭐냐고? 렙사가 뭐냐고? 잠깐만 기다려라.
2. 세부 용어
인벤토리: 광고를 틀어줄 수 있는 총 용량.
CPM: Cost Per Mill. 천 명에게 광고가 노출되는데 소요되는 비용.
CPC: Cost Per Click. 클릭을 1회 일으키는데 소요되는 비용
CPA: Cost Per Action. 액션을 1회 일으키는데 소요되는 비용. Action을 무엇으로 정의하느냐
에 따라 비용 효과를 판단할 수 있음
Tracking: 광고 클릭 이후, 혹은 광고 노출 이후 인터넷 유저가 어디로 이동했는지 체크하는 것
Post Click: 광고를 클릭하고 특정페이지 (거의 대부분 이벤트 페이지)까지 넘어온 숫자
Post View: 광고에 노출 되었으나 광고를 클릭하지 않고 다른 사이트 등을 돌아다니다가 특정
페이지 (거의 대부분 이벤트 페이지)까지 넘어온 숫자
너무 많다고? 이것도 줄이고 줄인건데? 위에 설명한 내용은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내용들이다. 그럼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보자.
예) CPM 10,000원 짜리 광고 상품에 5,000 만원의 예산을 사용했다. 목적은 여름 휴가를 보내주는 이벤트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벤트 참여를 최종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클릭은 총 20만번이 발생했으며, 이벤트에는 총 10만명이 참여 하였다. 이때 CPC, CPA, CTR, 총 광고 노출자는?
정답: 총 광고노출자- 5,000,000 명
CPC- 250원
CPA- 500원
CTR- 4%
해답:
* 총 광고 노출자 = Impression
(50,000,000원 ÷ 10,000원) * 1,000 명= 5,000,000 명 (회)
CPM이 천명에게 광고가 노출되는데 소용되는 비용으므로 전체 예산을 CPM으로 나눈 후
다시 1,000을 곱하면 된다.
* CPC: 50,000,000원 ÷ 200,000회=250원
* CPA: 50,000,000원 ÷ 100,000명=500원
* CTR: (200,000 클릭 ÷ 5,000,000 노출)* 100=4%
잘 이해가 안간다고? 그렇다면 스스로 예제를 만들어서 선배들에게 문의해보라. 몇 번만 해보면 금방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찬고로 인터넷 광고의 평균 CTR은 0.1%다. 광고의 Creative에 따라 혹은 이벤트 내용에 따라 클릭 수 및 CTR은 절대적으로 달라지는데 좋을 때는 1%까지도 나온다. 그럼 대박이다!
또 하나. 광고주마다 클릭 숫자를 중요시하는 광고주가 있는가하면 CTR을 중요시하는 광고주가 있다. CTR은 위의 구하는 방식대로 노출량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많은 광고주들이 절대적인 클릭 숫자를 중요시하는 편이다.
====================================================
Leggie님의 네이버 블로그에서 퍼온 글입니다.
원문 : http://blog.naver.com/leggie/150019660408

'Design > Web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펌] 웹2.0 의 유래... 팀오라일리의 메모 (0) | 2007.09.07 |
---|---|
크로스 미디어란? (0) | 2007.09.07 |
[WEB2.0] MotionCloud의 Silverlight 시연 (0) | 2007.09.05 |
(인터넷 마케팅을 위한) 데이터 및 통계 용어 (0) | 2007.08.28 |
웹사용성 원칙 - Don't make me think! (0) | 2007.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