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는 꽤나 강력한 설치형 블로그지만 영어의 압박과 간단한듯 하면서도 간단하지 않은
여러 설치절차 때문에 고생꽤나 해야하는 설치형 블로그이다.
일단, 첫번째로 할일은 당연히 블로그 설치하는거
아니겠나? 일단은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이너넷 쓸줄 안다는 가정하에 설명을 해야겠다.(귀찮잖아)
그럼에도 불구하고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1.
mysql이 지원되는 계정(cafe24, 나야나 등등)
§
잘 모르겠다면
다음과 같은 메일을 짧게 호스팅 업체 관리자에게 보내기 바란다.(from http://wordpress.org/about/requirements/)
§
I’m
interested in running the open-source WordPress blogging software and I was
wondering if my account supported the following:* PHP 4.2 or greater
* MySQL 3.23.23 or greater
* The mod_rewrite Apache module
Thanks!
2.
파일 업로드가 가능한(당연한 이야기지만) ftp프로그램(알ftp, cuteftp등)
그럼 차근차근히 가보자. 일단은 워드프레스 공식사이트(http://www.wordpress.org/)를
방문하야 최신버젼(2006년 4월 18일 기준 2.0.2)을
다운받는다.
다운을 다 받았다면, 당연히 설치를 해야하지 않겠나? 리눅스 기준으로 설명하고 싶지만 리눅스기반 OS에서 기억나는 명령어라고는 ls밖에 떠오르지 않는다(학점은 비뿔 받았었는데;;). 따라서 윈도우 기준이다.
워드프레스 공식 사이트의 “The Famous 5minutes Installation”에 따르면,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푼다.
2.
ftp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자신의 계정에 접속한다.
3.
두가지 선택
§
만약 자신의 블로그를 도메인과 직접
연결시키고 싶다면. (ex : http://www.mydomain.com) 자신의 계정
루트디렉토리에 wordpress 폴더내의 파일을 통째로 업로드한다.
§
만약 자신의 블로그를 특정디렉토리에
두고 싶다면. (ex : http://www.mydomain.com/blog) blog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그 폴더안에다가 wordpress 폴더내의 파일을 통째로 업로드한다.
4.
wordpress폴더내의 wp-config-sample.php을
wp-config.php로 수정한후 자신의 계정에 맞게 파일내의 내용을 변경한다.
5.
이제 할일은 install.php를 실행시키는 일뿐. 파폭 혹은 IE를 띄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주소창에 주소를 친다.
§
위
3번의 첫째처럼 루트디렉토리에 wordpress폴더내 파일을 통째로 업로드 했다면 http://www.mydomain.com/wp-admin/install.php
라고 친다
§
두번째 경우라면 당연히, http://www.mydomain.com/blog/wp-admin/install.php
를 친다.
6.
끝이다. 이후 화면에 뜨는 메시지들은 당신의 짧은 영어로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으므로 걱정하지 말자.
* wp-config.php 내용
[code lang="php"] // **
MySQL settings ** //
define(’DB_NAME’, ‘wordpress’); // 데이터베이스 이름, 대게 걍 놔두면 된다
define(’DB_USER’, ‘username’); // mysql 유저네임, 대게 자신의 계정이름과 같다.
define(’DB_PASSWORD’, ‘password’); // 암호. 알아서
define(’DB_HOST’, ‘localhost’); // 걍 놔두면 된다. 99%
// You can have multiple
installations in one database if you give each a unique prefix
$table_prefix = ‘wp_’; // only numbers, letters, and
underscores please!
// wp-includes/languages 폴더내 설치되어 있는 랭귀지 팩을 설정해준다. 한글판을 다운받아서 이 파일을 살펴보면 어떤식으로
하는 것인지 대충 감이 잡힐것이다.
// For example, install de.mo to wp-includes/languages and set WPLANG to ‘de’
// to enable German language support.
define (’WPLANG’, ”);
/* That’s all, stop editing!
Happy blogging. */
define(’ABSPATH’,
dirname(__FILE__).’/');
require_once(ABSPATH.’wp-settings.php’);
?>[/code]
그래도 나는 죽어도 무슨말인지 못알아먹겠다 하시는 분들은. 다음
사이트를 참조하기 바란다. dr. say라고 하는 고마우신분이 당신을 위해 친절한 한글판을 제작해 배포해주셨다. 대신에 최신버젼은 조금 늦게 릴리즈 되니깐 군소리말자. 공짜로 쓰지
않나.
워드프레스 2.0.1 한글판 다운받으러 가기(utf-8,
euc-kr 버젼 모두있음)
'Design > Web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보드 천리안에 설치하기 (0) | 2008.02.19 |
---|---|
[스크랩] 웹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0) | 2007.11.15 |
[스크랩] [펌] 웹2.0 의 유래... 팀오라일리의 메모 (0) | 2007.09.07 |
크로스 미디어란? (0) | 2007.09.07 |
[WEB2.0] MotionCloud의 Silverlight 시연 (0) | 2007.09.05 |